당신이 알던 산나물은 잊어라! 맛·색상 바꾼 '슈퍼 산채' 시대 열린다
2025-04-29 11:13
이러한 미래 식품 산업의 혁신을 이끄는 주역은 바로 신품종 개발이다. 대표적인 사례로 우리나라 산채류인 곰취, 두릅, 음나무 등은 원래 특유의 강한 쓴맛과 향이 소비자들에게 진입장벽으로 작용했으나, 품종 개량을 통해 쓴맛을 대폭 줄이고 향을 순하게 만들어 대중적인 식재료로 거듭나게 했다.
색상 다양화도 주목할 만한 성과다. 전통적으로 빨간색이 주를 이루던 산딸기와 오미자는 이제 오렌지색, 노란색 등 다양한 색상으로 개발되어 소비자들에게 시각적 즐거움을 선사한다. 이렇게 개발된 색다른 품종들은 맛과 향의 변화뿐만 아니라 시각적 매력까지 갖추어 음료와 디저트 산업에서 인기 있는 소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산림청 품종관리센터는 올해에도 산과수, 버섯, 산채 등 식용 및 약용 가치가 있는 57개 품종에 대한 재배심사를 진행 중이다. 이는 신품종 개발이 단순한 연구를 넘어 실용화 단계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우리나라는 2002년부터 신품종을 개발한 육종가의 권리를 지식재산권 형태로 보호하는 제도를 시행해 왔다. 이러한 제도적 뒷받침은 신품종 개발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산림 자원의 경제적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국토의 약 64%가 산림인 우리나라는 이러한 자연환경을 활용한 신품종 개발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주목받으면서 개발 속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2024년 신품종 등록 건수는 73건으로, 전년도 평균 30~40건의 2배를 넘어서는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윤석범 산림청 품종관리센터장은 "우리 숲에서 자란 토종 식물이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을 날이 머지않았다"며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표현했다. 또한 "산림 신품종 지식재산권 보호에도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혀, 개발된 신품종의 권리 보호와 산업화 지원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이처럼 우리나라 토종 산림식물의 품종 개량은 식품 산업의 다양화와 고부가가치화를 이끌며, 미래 식량 자원으로서의 가능성을 활짝 열고 있다.